이름 | 설명 |
/bin -> usr/bin |
ls 커맨드나 cp 커맨드와 같은 기본 커맨드를 저장하는 디렉토리. 특권 사용자, 일반 사용자 모두 이용하는 명령들이 배치되어 있다. |
/sbin -> usr/sbin |
시스템 관리용 마운트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. 예를 들어 mount 커맨드나 reboot 커맨드 등. 관리 커맨드는 /usr/sbin이나 /usr/local/sbin 등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. |
/usr | 각종 프로그램이나 커널 소스가 저장되는 디렉토리. /usr/local은 시스템 관리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장소로 이용한다. |
/boot | Linux 커널 등 OS의 시작에 필요한 파일을 배치하는 디렉토리. Linux 커널의 정체는 vmlinux라는 이름의 파일이다. |
/dev | 하드디스크, 키보드, 디바이스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. 예를 들어 /dev/had는 하드디스크, /dev/hda는 IDE 타입 하드디스크, /dev/sda는 SCSI 타입 하드디스크를 나타낸다. /dev/tty는 표준입출력이 되는 단말 디바이스. 또한 '아무 것도 아니다'를 나타내는 /dev/null이라는 특수한 디바이스도 마련되어 있다. /dev/null은 필요가 없어진 출력을 버릴 때 사용하거나 빈 파일로 사용한다. |
/etc | OS나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설정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. 예를 들어 /etc/hosts는 IP 주소와 도메인명을 연결하는 파일이며, /etc/passwd는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다. 웹 서버를 시작할 때의 http 데몬 설정 파일도 이 디렉토리 아래에 배치된다. |
/var | 시스템의 가동과 함께 변화하는 파일을 놓아두는 디렉토리. 예를 들어 /var/log에는 가동 로그, /var/spool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임시 파일로 사용하는 스풀이 저장된다. 또한 메일 등의 큐나 프로세스의 다중 기동을 막기 위한 로그 파일 등도 배치된다. |
/tmp |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파일 등을 저장하는 임시 디렉토리.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보통의 파일처럼 보이지만 /tmp는 보통 tmp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메모리상에 전개되기 때문에 서버를 재시작하면 사라져 버린다. |
/home |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. 시스템 이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디렉토리. 독자적인 쉘 설정파일 등도 여기에 배치할 수 있다. 또한 특권 사용자(root)는 /root를 홈 디렉토리로 사용한다. |
/proc | 커널이나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. /proc 아래에 있는 숫자 폴더는 프로세스 ID를 의미한다. 또한 /proc/cpuinfo는 CPU 정보, /proc/partitions는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, /proc/version은 Linux 커널의 버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. |
/sys | 시스템 하드웨어 정보나 가상 파일 시스템들 |
자주 사용하질 않으니 돌아서면 까먹는 나를 위한 기록.
출처 : 완벽한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Docker 2판 중
728x90
반응형
'개발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sh Shell Positional Parameters (위치 매개변수) (0) | 2023.01.02 |
---|---|
Bash Shell Script (셸 스크립트와 작성법) (0) | 2022.12.30 |
Bash shell과 Rules(기능) (0) | 2022.12.30 |
Linux Shell이란, Bash shell과 변수 (0) | 2022.12.30 |
Linux 기본 명령어 (0) | 2022.12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