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목차]
1. 리눅스에서 Docker(도커) 엔진 설치
2. 윈도우(window)에서 Docker 설치
3. 설치 확인 및 실행
4. 특정 계정에 Docker 관리자 권한주기
엔진만 설치하고자 하면 아래 주소로 접근할 수 있다.
설치는 아래 도커 설치 페이지에 자세히 적혀 있어서 사실 따로 정리할 게 없다.
1. 리눅스에서 Docker(도커) 엔진 설치
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install
Docker Engine installation overview
docs.docker.com
- 설치에 필요한 명령어만 정리(centos 기준)
# Set up the repository
sudo yum install -y yum-utils
sudo yum-config-manager \
--add-repo \
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centos/docker-ce.repo
# Install Docker Engine
sudo yum install -y docker-ce docker-ce-cli containerd.io docker-compose-plugin
2. 윈도우(window)에서 Docker 설치
https://docs.docker.com/desktop/install/windows-install/
Install on Windows
docs.docker.com
- 사전에 Docker Hub 계정이 필요하다. https://hub.docker.com/
- Docker Desktop으로 설치된다. 설치파일로 설치를 진행하면 Hiver-v 설정과 WSL2가 함께 설치된다.
- 마지막에 커널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나올 수 있다. 안내 문구를 잘 확인하고 업데이트 해주면 된다.
3. 설치 확인 및 실행
# 설치 확인
docker version
# 실행
sudo systemctl start docker
# 부팅 시 실행 설정. centos에서는 설정해야 하고, ubuntu는 기본으로 적용되어 있어 할 필요없음.
sudo systemctl enable docker
4. 특정 계정에 Docker 관리자 권한주기
- root 권한에서
usermod -a -G docker [user명]
728x90
반응형
'개발 > 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컨테이너 만들기 (1) | 2022.12.27 |
---|---|
Docker 이미지와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 (0) | 2022.12.27 |
젠킨스(jenkins) 빌드 후 스프링(spring) 프로젝트 실행하기 (0) | 2022.12.23 |
젠킨스(jenkins)와 깃헙(github) 연동하기 (0) | 2022.12.22 |
ngrok을 이용해 외부에서 로컬로 접속하기 (0) | 2022.12.22 |